전북 장수서 규모 3.5 지진 ··· “가스 폭발한줄, 깜짝 놀라”
- 담장 균열 등 피해신고 6건 접수
- 올해 규모 3.0 이상 10건 발생
지진연구센터 → https://www.kigam.re.kr/quake/
“처음에는 가스가 폭발한 줄 알았어요. 살면서 이렇게 놀란 건 처음입니다.”
전북 진안군 부귀면에 사는 임모 씨(70)는 전날(29일) 지진 발생 당시 상황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진안에서 약 20Km 떨어진 곳에 사는 임 씨는 “방바닥에 누워 있는데 집이 두세 차례 크게 흔들려 황급히 뛰쳐나왔다”며 “아직도 그때 생각을 하면 가슴이 철렁한다”고 했다.
30일 전북도와 기상청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 7분경 장수군 북쪽 17Km 천천면 인근에서 규모 3.5의 지진이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지진을 느꼈다는 신고가 이어졌다. 전북에서 43건 등 전국에서 총 52건의 신고가 들어왔다. 장수군 계남면에 사는 최모 씨(41)는 “저녁은 먹는데 집 전체가 흔들려 아이들이 식탁 밑으로 숨었다. 너무 무서웠다”고 돌이켰다.
주택과 담장 등에 균열이 생겼다는 신고 6건도 접수됐다. 진안군에서 공동주택 1층 외벽과 외부 화장실 등에 균열이 생겼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흔들림의 정도를 뜻하는 진도는 전북에서 5로 가장 높았고, 경남 및 충남북에선 3이었다. 진도 5는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과 창문 등이 깨지기도 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지진 직후인 오후 7시 10분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소집하고 지진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경계’는 지진 위기경보 4단계 중 ‘심각’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것이다. 다만 중대본은 지진 발생부터 1시간 20분가량 지난 오후 8시 26분경 ‘전북’이 아니라 ‘전남’ 장수군으로 잘못 표시한 재난문자를 보냈다가 20분 후 정정 문자를 보내며 혼선을 빚었다.
이번 지진은 올해 한반도와 인근 해역에서 일어난 지진 중 3번째로 큰 규모다.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선 예년에 비해 지진이 자주 발행하고 있다. 이번 지진까지 포함해 진안 주변에서 대다수가 진동을 느낄 수 있는 규모 3.0 이상만 해도 10건이 발생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교수는 “해당 지역에서 2016년 이후 꾸준히 지진이 발생하고 있는데 당분간 여진이 잇을 수 있고 더 큰 지진이 발행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전북 장수 지진 발생 관련보도 → https://www.news1.kr/articles/5126678
※ 지진 발생 시 진행별 행동요령
지진이 발생하면 이렇게 대피해야 합니다.
-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갈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
-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잇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은 꼭 신고 이동합니다.
- 지진이 발행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이 나면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타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
-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여져 이동합니다.
-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
-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
-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 대피 장소에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
-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 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장소에 따라 이렇게 행동합니다.
- 집에 있을 때
- 가구, TV 등 낙하물을 피해 탁자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머리와 몸을 보호합니다.
- 주방에서는 가스를 차단하여 화재발생에 주의합니다.
- 욕실에서는 몸을 낮추고 목욕대야, 수건, 목욕가운 등으로 머리와 몸을 보호합니다.
- 학교에 있을 때
-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키면서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 복도에서는 창문 유리가 깨질 우려가 있으니 창문과 떨어져 이동합니다.
- 고층 건물에 있을 때
- 높은 층의 건물일수록 흔들림이 크게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 사무실에 있을 때
- 사무실은 컴퓨터 본체, 모니터 등 무거운 물건들이 많아 다칠 위험이 큽니다.
- 사무실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백화점 · 마트에 있을 때
-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피하고, 흔들림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밖으로 대피합니다.
-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다면, 손잡이를 잡고 앉아서 버틴 후 침착히 벗어납니다.
- 극장 · 경기장에 있을 때
-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잠시 동안 자리에 머물러 있습니다.
- 사람이 많이 있는 곳에서는 한 곳으로 갑자기 몰리게 되면 사고의 우려가 있으니, 안내에 따라 대피합니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 때
- 지진이 발행하면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아야 합니다.
-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다면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신속하게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합니다.
-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갇혔을 때는 인터폰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합니다.
- 자동차를 타고 있을 때
-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긴급차량을 위해 도로의 중앙부분을 비워둡니다.
-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듣고, 대피해야 할 때에는 열쇠를 꽂거나 놓아둔 채 문을 잠그지 않고 이동합니다.
- 지하철을 타고 있을 때
- 지하철 안의 손잡이나 기둥, 선반을 꼭 잡고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지하철이 멈췄다고 해서 서둘러 출구로 뛰어가는 것을 위험하므로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 산이나 바다에 있을 때
- 돌 · 바위 등 굴러 내려오거나 큰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급한 경사지를 피해 평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지진해일 긴급대피장소 등 높은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더 많은 정보 더 많은 이슈 내용 → https://yeomsm.com/